사업단소개
지능형 에너지산업 교육연구단

사업목표
중앙대학교 지능형 에너지산업 교육연구단은 분야별 전문 대학-산-연-국외기관 구성을 통해 미래 수요에 대해 다각도 측면에서 분석하고 에너지신산업군에 대한 융·복합 지식을 함양한 에너지 고급인재를 양성하고자 한다.
본 사업단은 변화하는 에너지산업에 맞춰 문제가 발생하기 전에 예측하고 선제적 방안을 제시할 수 있는 Problem-Finding (사전예측) 중심의 교육·연구로의 전환을 목표로 한다.
본 사업단은 스마트 에너지(지능형 에너지 + 신재생 에너지) Physical Layer – Digital Layer – Biz Layer 간의 지능적 연계를통한 에너지신산업 핵심 연계 기술 및 신규 비즈니스 모델을 창출하고, 에너지신산업의 미래지향적 교과목 체계 구축 및 운영을 통한대학원 교육 선진화를 이루고자 한다.

교육역량 영역
▶ 중앙대학교 지능형 에너지산업 교육연구단 철학
- 에너지 전문 기술력과 산업을 바라보는 통찰력(Problem-Finding),비즈니스 마인드를 겸비한 에너지신산업형 창의인재 양성
▶ 중앙대학교 지능형 에너지산업 교육연구단 국제 공동연구 협력 전략 수립
- 지능형 에너지산업 학과를 신설하여 에너지신산업에 관련된 융합 교육에 집중하고, ICT 융합 기반의 ‘에너지신산업 CAU Aperture Program 플랫폼’을 구축
▶ 산업수요 기반의 ‘에너지신산업 CAU Aperture Program’
- 중앙대학교 지능형 에너지산업 교육연구단의 교육/연구 강화 프로그램
· 에너지신산업 CAU Aperture Program은 9가지 평가지표를 통해 단계별 수준향상지표를 제공하고, 교육/연구 사례에 대한 성과분석을 통해 고도화된 교육/연구로 진화함.
▶ 산학연 수요기반 중앙대학교 지능형 에너지산업 교육연구단 교육과정 구축
- 미래 에너지신산업 예측 가능한 협동교육 기반 Problem-Finding 중심의 교육
- 지능형에너지산업학과 교육 커리큘럼 : 에너지신산업 Problem-Finding
· 지능형에너지산업학과의 커리큘럼은 교육에 따라 크게 3가지로 구분할 수 있으며 에너지중심의 Business 교과목, Digital 교과목, Physical 교과목으로 구성함.
· 에너지신산업을 선도하기 위해 산학협동 교육과정 운영을 통해 폭 넓은 전문성과 핵심 기술력을 갖춘 Problem-Finding 중심의 고급인재 양성을 최종목표로 함
▶ 중앙대학교 지능형에너지산업 교육연구단 TEPS 프로그램
- 지능형에너지 석·박사급 선도 연구자에 대한 집중 양성과 혁신적인 교육을 제공하기 위해 문제해결 중심의 TEPS (Tutoring, Expert, Project, Start up)프로그램을 시행함.
- TEPS 프로그램은 대학원생에게 에너지산업에 대한 자기주도적 문제 해결형 과제를 제시하여 에너지신산업에 대한 연구 문제해결 및 실무지식 강화를 목표로 함.

연구역량 영역
▶ 중앙대학교 지능형 에너지산업 교육연구단의 연구역량 강화를 위한 전략
- 전략 ① : 패러다임 전환에 따른 지속적인 지능형 에너지신산업으로의 확장 및 전환
· 에너지신산업 분야 확장성 및 지속성을 위한 교육/연구 파이프라인 구축 및 운영
· 비즈니스 모델로의 확장을 위한 수익성 조사 및 목표 확립
- 전략 ② : Problem Finding 인재양성을 위한 산학연 협동과정 체계 확립
· 에너지신산업 CAU Aperture Program 운영을 통한 역량 강화
· 대학-산업체-연구소-국외기관 간 전략적 협업모델 구축을 통한 연구능력 고도화
- 전략 ③ : 교육 및 연구역량 강화를 위한 다차원적 지원제도 구축
· 우수논문 장려지원, 글로벌협력 프로젝트 지원 등 교육 및 연구역량 향상을 위한 지원
· 지속적이고 긴밀한 내외 협력을 통한 에너지신산업으로의 신규 비즈니스 모델 창출
▶ 중앙대학교 지능형 에너지산업 교육연구단 국제 공동연구 협력 전략 수립
- 국제 공동연구 전략 : 동아시아 지역, 중동지역, 미주지역 간 긴밀한 연계, 교류 및 통합을 통한 에너지신산업 분야 교육/연구의 폭발적인 도약을 위한 기반 마련
- 동아시아 지역 전략 : 홍콩(홍콩과학기술대학교), 일본(Nagoya Institute of Technology), 베트남(Petro Vietnam University) 등 동아시아의 국제적 허브로써,에너지데이터 및 에너지신산업 비즈니스 모델 발굴 및 플랫폼 실현을 위한 공동연구 진행
- 중동 지역 전략 : 이스라엘 텔아비브 대학과 공동으로 5년 이상 연구 및 협업 경험을 보유하고, AI 및 빅데이터 기반 에너지신산업 공동연구 추진 예정
- 미주 지역 전략 : 캘리포니아 주립대학(어바인) 및 템플 대학교와 에너지안보 및 에너지자립을 위한 에너지신산업 공동연구 진행

기대효과
▶ 에너지신산업분야 에너지 고급 인재양성을 통한 세계 에너지신산업 시장 선도
- 기대효과 1 : 새로운 에너지 공유 데이터 분석 체계 수립을 통한 에너지전환 기반 확충
- 기대효과 2 : 에너지신산업분야 시장 활성화를 위한 디지털트윈 기반 에너지데이터 플랫폼 구축 및 에너지 자립성과 지속가능성을 실현을 위한 에너지 공급의 최정화와 수요 관리의 한계 극복
- 기대효과 3 : 데이터 중심의 교육/연구 플랫폼을 구축하여 ‘공급-소비 단계별 데이터 수집/관리/분석’이 가능한 전문 인력 배출
조직도
▶ 지능형에너지산업교육연구단
<연구단장>
- 박세현 교수
<참여교수>
- 곽상신 교수
- 서용원 교수
- 한중근 교수
- 고중혁 교수
- 이철진 교수
- 이평수교수
- 박주현 교수
- 남인호 교수
- 김주헌 교수
- 이정륜 교수
- 김민성 교수
- 인정빈 교수
- 이형순 교수
- 이성혁 교수
- 노종석 교수
- 박중열 교수
- 최대현 교수
<신진연구인력>
- 박상민 연구교수
- 강병관 연구교수
<행전인력>
- 곽지현 02-822-53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