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대학교

BK21Four

BK21Four 학교전경사진
BK21 지능형에너지산업 교육연구단 소개

BK21 지능형에너지산업 교육연구단 소개

중앙대학교 지능형 에너지산업융합 교육연구단

BK21 중앙대학교 지능형 에너지산업융합 교육연구단

 

데이터·AI 융합으로 미래 에너지 신산업을 선도

 

 

비전과 목표

 
 

비전

데이터·인공지능 기반의 에너지산업과 에너지소재 간 융합을 통해 새로운 미래 에너지 비즈니스 창출과 에너지 신산업·사회로의 혁신적 변화를 촉진합니다.

 

핵심 키워드

Data-DrivenAI x Energy융합(Convergence)신산업 Innovation
 

목표

  • 대학·산업·연구·국외기관 연계를 통한 융복합 지식과 실무 역량을 갖춘 에너지 고급인재 양성
  • Problem-Finding 중심의 교육·연구로 전환하여 사전 예측과 선제 대응 체계 확립
  • 스마트 에너지의 Physical–Digital–Biz Layer 지능 연계를 통해 핵심 기술 및 비즈니스 모델 창출
  • 미래지향적 교과목 체계 구축·운영을 통한 대학원 교육 선진화

교육역량

 
 

인재상

Problem-Finding
선제적 문제 정의·예측 및 해결 방안 제시
Skill & Business Shift
새로운 기술 역량과 수요 맞춤형 비즈니스 모델 창출
AI & Data Shift
데이터·AI 기반으로 산업 잠재력 발현
 

CAU Aperture Program

9가지 평가지표로 단계별 수준 향상을 설계하고, 교육·연구 사례의 성과 분석을 통해 지속 고도화합니다.

9-Index 평가성과 피드백진화형 커리큘럼
 

지능형에너지산업융합학과 커리큘럼

총 48개 교과목 · Business / Digital / Physical 3트랙

  • Business : 에너지 신산업 중심의 비즈니스·정책·시장 과목
  • Digital : 데이터·AI·ICT 융합 과목
  • Physical : 에너지소재·시스템·공정 관련 과목
산학협동 교육과정을 통해 폭넓은 전문성과 핵심 기술력을 갖춘 Problem-Finding 중심 고급인재 양성을 목표로 합니다.
 

TEPS 프로그램

  • Tutoring : 1:1/소그룹 맞춤 지도
  • Expert : 분야 전문가 멘토링
  • Project : 문제 해결형 과제 수행
  • Start-up : 실무·창업 역량 강화

에너지산업 실무지식과 연구 문제해결 역량을 자기주도적으로 강화

연구역량

 
 

전략 ① 확장·전환

  • 지속 가능한 연구 파이프라인 구축·운영
  • 비즈니스 모델 확장을 위한 수익성 조사·목표 확립
 

전략 ② 산학연 협동

  • CAU Aperture Program 기반 연구 역량 강화
  • 대학–산업체–연구소–국외기관 전략 협업모델
 

전략 ③ 지원 제도

  • 우수논문·글로벌협력 프로젝트 지원
  • 내·외부 협력으로 비즈니스 모델 창출
 

국제 공동연구 네트워크

동아시아

  • 홍콩과기대, NTU, 나고야공대, Petro Vietnam Univ.
  • 에너지데이터·소재·비즈니스 모델 공동 개발

중동

  • 텔아비브대
  • AI·빅데이터 기반 에너지신산업 공동연구

미주

  • UC Irvine, Temple Univ.
  • 에너지안보·자립 공동연구

산학협력

 
 

산학공동 교육과정

  • 에너지데이터 공유센터 기반 강화학습형 데이터 분석 프로젝트
  • 산학공동 Intelligent TEPS 운영
  • 국내외 산학협력 교육연구 플랫폼 구축
 

3-Layer 연계 커리큘럼

산업체 협동연구 네트워크 × 교육·연구–취업·창업–글로벌 교류

PhysicalDigitalBiz
 

인적·물적 교류 & 기대효과

  • 공동연구·공동장비 지원으로 기술 노하우 확산
  • 에너지소재 개발, 데이터 교류·분석·연계 상호 지원
  • 글로벌 역량 고도화를 위한 에너지데이터 오픈 플랫폼 공동연구
  • 새로운 에너지 공유 데이터 분석 체계를 통한 에너지전환 기반 확충
  • 디지털트윈 기반 플랫폼·에너지 소재 개발·공급 최적화 및 수요관리 한계 극복
  • 데이터 중심 플랫폼으로 공급–소비 단계별 데이터 수집·관리·분석 인력 배출

조직도

 
연구단장 : 김주헌 교수
 
교육연구단 운영위원회
교육연구단 관리위원회
에너지이슈 분석위원회
에너지신산업 평가위원회
 
신진연구인력 : 강병관 연구교수
산학전담인력 : 곽지현 행정담당 (02-822-5338)
 
메일 지도 Top

I am a template 1.1

My account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