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과정
중앙대학교 2021학년도 지능형에너지산업학과 교과목 이수 체계도 | |||||||||||||
---|---|---|---|---|---|---|---|---|---|---|---|---|---|
석사과정 | 박사과정 | ||||||||||||
선수과목 | 공업수학, 일반물리, 미적분학, 프로그래밍 관련 교과목(1과목) 기타 수학관련 과목 |
공업수학, 일반물리, 미적분학, 프로그래밍 관련 교과목(1과목) 기타 수학관련 과목 |
|||||||||||
전공필수 | 에너지변환소재공학, 지능형에너지모델링추론 | ||||||||||||
자율학기제 | |||||||||||||
전공선택 | 선택 | 신재생 에너지 |
IoT 기반 신재생 에너지기술, 차세대에너지소재 /소자, IoT 기반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기술, 전기화학적 에너지변환의 이해, 신뢰성 기반 에너지 획득 시스템연구, 신재생에너지의 비즈니스설계, 에너지안보와 에너지자립, 신재생 에너지 관리시스템,신재생에너지 인프라 구조설계, 이차전지 최적화 설계, 전기 /열 에너지 모듈관리, 신재생에너지시스템 표준화기술, 신재생에너지와 디지털트윈 개요, 빅데이터를 위한 신재생에너지 IoT, 신재생에너지 충전시스템개론, 고성능열관리 신소재설계,에너지 하베스팅소재 설계 /분석, 친환경 에너지디자인, 신뢰성기반 에너지 획득물질연구 | ||||||||||
에너지 신산업 |
에너지밸런스비즈니스, 지능형 에너지 디지털 비즈니스, AI 통계, 스마트 에너지 도시 /빌딩 모델링, AI 기반 에너지 최적화전략, 지능형에너지 모델링추론, 에너지데이터 최적화와 시뮬레이션, 에너지밸런스 비즈니스, 지능형 에너지 모델링 추론,AI 기반 에너지신산업평가 및 최적운용, AI 기반 초연결에너지 신산업, 청정화력발전소데이터 분석 /설계, 청정화력발전소 설계, 예측기반지능형에너지 전환시스템, 가상스마트에너지도시 시뮬레이션, 에너지소재별 최적화와 시뮬레이션,초전도 및 에너지신기술, 지능형에너지공정설계, 스마트에너지시티의 인프라 안전과 보안, 에너지신신업과 도시설계 | ||||||||||||
산학연 협동과정 |
지능형 에너지 통합관리기술, 에너지안보 중심의 생산과 분배 전략, 에너지 데이터기반 가상발전소 운영, 지능형 전력망 원격제어, 지능형 에너지 거래플랫폼 설계, AI 기반 에너지신산업 평가 및 최적운용, AI 기반 에너지신산업 엔지니어링,지능형에너지 시스템 저전력제어, 지능형 에너지 데이터 관리 /분석, 지속가능한 에너지플로우설계, 에너지거래 보안 및 안정성, 에너지신산업 IoT Ecosystem 분석 /설계, AI 기반 ESS 최적화 모델 설계, 에너지도메인 데이터 수집방법론,지능형에너지와 스마트 인프라 | ||||||||||||
융합 | 생명기반AI(1)/(2), 산업기반AI(1)/(2), 문화기반AI(1)/(2), 생활기반AI(1)/(2) |
석 · 박사 학위과정에 입학한 자는 선수과목을 추가 이수하거나 대체 인정(선수과목 학점인정)을 받아야 한다.
전공필수
전 공 필 수 |
1 | 에너지변환소재공학(New Materials for Energy Conversion Engineering)(필수) | 새롭개 연구되고 발전되고 있는 에너지 저장, 에너지 변환 소재와 그 구동매커니즘에 대해 학습함 |
---|---|---|---|
2 | 지능형 에너지모델링 추론(Intelligence Energy Modeling Theory) | 에너지를 다루는 소재, 산업, 연관 비즈니스 모델링 등을 다루는 각종 원리 및 이론에 대해 학습함 |
전공선택(신재생어너지)
신 재 생 에 너 지 |
1 | IoT기반 신재생 에너지기술 (New and renewable energy and its applications based on the internet of things | 본 교과과정을 통해서 사물 인터넷 기반의 다양한 종류의 신재생 에너지 및 그 응용 기술에 대해서 공부하도록 한다.본 교과목 에서는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여러 가지 다른 종류의 태양전지, 이차전지, 풍력에너지, 압전에너지등에 대해서 공부하고, 그 발생 원리 및 공정 등에 대해서 공부함 |
---|---|---|---|
2 | 차세대에너지소재/소자(Advanced Electronic devices for the future industries) | 본 교과목에서는 향후 미래 산업사회에서 많은 사용이 예상되는 각종 기능성 전자소자, 센서 및 반도체 소자에 대한 원리 및 그 응용 방안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관련 이론을 학습함 | |
3 | IoT 기반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기술 (IoT based wearable display technology) | Newly developed IoT based smart display technology, especially sensor related display technology and network based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next generation wearable display applications. | |
4 | 전기화학적 에너지변환의 이해 (Electrochemistry for Energy Conversion) | This course introduces the advanced theory and applications of electrochemistry related to renewable energy. | |
5 | 신뢰성 기반 에너지 획득 시스템연구 (Energy harvesting technologies based on reliability) | 본 교과과정을 통해서 각종 신재생에너지 소재 및 소자의 열화 및 신뢰성에 대해서 공부하도록 한다. 각종 신재생에너지 소재 및 소자의 경우, 시간의 변화와 함께 그 특성이 나빠지는 열화의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렇게 열화 되어 가는 소자가 결국에는 파괴되는 거동을 하게 되는데, 본 교과목에서는 파괴 거동의 특징 및 메커니즘을 신뢰성과 연관 지어서 공부함 | |
6 | 신재생에너지의 비즈니스설계 (Business modeling for renewable energy) | 신재생 에너지를 기반으로 한 각종 모델링 유사 연구를 공부하고, Big data 기반의 비즈니스 모델을 설계하도록 함 | |
7 | 에너지안보와 에너지자립 (Energy security and self reliance) | 전 세계적으로 많이 연구되고, 사용되는 에너지의 종류에 대해서 학습하고, 이의 교역량 및 무역 모델에 대한 학습을 진행 | |
8 | 신재생 에너지 관리시스템 (management system for renewable energy) | 신재생 에너지의 발생은 시간과 공간에 따라서 불균일적으로 발생되는데, 이런 불균일적으로 발생되는 에너지를 측정하고,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각종 모델에 대한 학습을 진행하고, Big data를 기반으로 한 최적화된 모델의 제안에 대한 학습을 진행 | |
9 | 신재생에너지 인프라 구조설계 (Infra design for renewable energy) | 서로 다른 지역과 공간에서 발생되는 신재생에너지의 발생량을 정확하게 측정하고, 저장하도록 하며, 에너지 거래를 수행할 수 있는 플랫폼 기술의 개발에 대한 연구를 진행 | |
10 | 이차전지 최적화 설계 (Optimization for the Secondary battery) | 에너지를 충 · 방전 할 수 있는 각종 이차전지에 대한 설계 및 연구를 진행하고, 이를 최적화 하도록 함 | |
11 | 전기/열 에너지 모듈관리 (Management of Electric-Heat energy Module) | 고발열 전력반도체 에너지 관리기술 기반의 고성능 전력반도체 에너지 관리 및 안정화 기술 학습 | |
12 | 신재생에너지시스템 표준화기술 (Standard technique of renewable energy system) | 신재생에너지 표준화에 대한 동향과 필요성을 인식하고 표준화의 개념, 종류, 프로세스, 절차 등에 대해 학습 | |
13 | 신재생에너지와 디지털트윈 개요 (Renewable energy and digital twins) | 신재생에너지와 디지털트윈에 대해 이해하고, 디지털트윈 기반의 에너지 효율화를 위한 장법 및 연계방안 등을 학습 | |
14 | 빅데이터를 위한 신재생에너지IoT (Renewable energy IoT for Big Data) | 데이터 인프라의 중요성을 이해하기 위한 신재생에너지 데이터에 대한 통계적 사고 및 의사결정 방법론 학습 | |
15 | 신재생에너지 충전시스템개론 (Introduction on renewable energy recharge system) | 신재생에너지 기반 ESS 연계 및 전기차 연계 등을 활용한 충전시스템 설계 및 활용 방안 학습 | |
16 | 고성능열관리 신소재설계 (High performance for new material design) | 극한의 환경에서 활용 가능한 고변동성 전력 저장을 위한 슈퍼커패시터 제작기술 학습 | |
17 | 에너지 하베스팅소재 설계/분석 (Analysis and Design of energy harvesting materials) | 환경/상황별 최적의 에너지 하베스팅을 위한 전기-열에너지의 변환소재 분석 및 설계방법 학습 | |
18 | 친환경 에너지디자인 (Friendly-environmental energy design) | 소재,재료의 지속가능성 및 에너지원 기반 에너지변환을 취한 최신 촉매디자인 기술 학습 | |
19 | 신뢰성기반 에너지 획득물질연구 (Research for energy acquisition materials based on Reliability ) | Weibull 분석기법 기반의 에너지 획득물질 안정성 및 신뢰성 평가방법 학습 |
전공선택(에너지신산업)
에 너 지 신 산 업 |
1 | 에너지밸런스비즈니스 (Energy balance business) | 각종 다양한 형태의 에너지의 종류와 형태 그리고 신재생에너지를 합해서 모을수 있는 방법과, 효율적인 전달, 그리고 거래에 대한 플렛폼 연구를 진행 |
---|---|---|---|
2 | 지능형 에너지 디지털 비즈니스 (Intelligent Energy Digital Business) | 각종 에너지 관련 자료를 습득하고, 이에 대한 자료를 digital twin 화 하여, 효율적으로 거래하고, 사용할수 있는 플렛폼에 대한 학습을 진행 | |
3 | AI통계 (Statistics for Artificial Intelligence) | 머신 러닝기술을 적용시키기 위해서 데이터의 Non-linear 패턴을 잡아내기 위한 통계 기법들을 학습함. | |
4 | 스마트 에너지 도시/빌딩 모델링 (Modeling of smart city and buliding) | 건물, 빌딩, 그리고 스마트 시티에서 사용하는 전기에너지,열에너지의 사용량을 시간과 공간에 따라서 분석하고, 에너지의 공급원에 대한 최적화를 구현한후, 효율적으로 에너지를 사용하고, 거래할수 있는 플렛폼 연구를 진행 | |
5 | AI기반 에너지 최적화전략 (Energy optimization based on AI) | 건물, 빌딩, 그리고 스마트 시티에서 사용하는 전기에너지,열에너지의 사용량을 시간과 공간에 따라서 분석하고, 에너지의 공급원에 대한 최적화를 구현한후, 효율적으로 에너지를 사용하고, 거래할수 있는 플렛폼 연구를 진행 | |
6 | 지능형에너지 모델링추론 (Modeling for the intelligence energy) | 에너지의 효율적인 사용과 분배를 위한 각종 모델링 연구와 이를 통한 최적화 모델링의 제시를 공부 | |
7 | 에너지데이터 최적화와 시뮬레이션 (energy data optimization and simulation) |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열에너지, 전기에너지의 사용량을 빅데이터를 통해서 먼저 분석하고, 이를 활용할 수 있는 기반을 확보하도록 함. 이를 통해서 최적화 할 수 있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구현하도록 함. | |
8 | 에너지밸런스 비즈니스 (Energy balance business) | 각종 다양한 형태의 에너지의 종류와 형태 그리고 신재생에너지를 합해서 모을 수 있는 방법과, 효율적인 전달, 그리고 거래에 대한 플렛폼 연구를 진행 | |
9 | 지능형 에너지 모델링 추론 (Modeling for the intelligence energy) | 에너지의 효율적인 사용과 분배를 위한 각종 모델링 연구와 이를 통한 최적화 모델링의 제시를 공부 | |
10 | AI기반 에너지신산업평가 및 최적운용 (Energy New Industry and Optimized Operation based on AI) | AI기반 지역별 에너지신산업 비즈니스 모델평가 및 최적화 운영방안 학습 | |
11 | AI기반 초연결에너지 신산업 (Hyper-connected energy new industry) | 초연결 에너지신산업으로 연결하기 위한 AI/BIG Data/IoT기반 에너지 신기술 학습 | |
12 | 청정화력발전소데이터 분석/설계 (Anaysis and design for clean firepower data) | 산업의 환경문제 분석 및 디지털화하여 청정 화력을 위한 발전소 설계 및 에너지분석방법 학습 | |
13 | 청정화력발전소 설계 (Clean firepower plant design) | 에너지원 공급형태의 변화를 위한 차세대 청정 화력 발전소 설계 학습 | |
14 | 예측기반지능형에너지 전환시스템 (Transition system for intelligent energy based on predict ) | 지능형에너지데이터 기반의 효율적인 에너지 설계 및 관리기술 학습 | |
15 | 가상스마트에너지도시 시뮬레이션 (Virtual smart energy city simulation) | 스마트에너지도시의 가상화 시뮬레이터를 설계하기 위한 다양한 기법의 치적 설계 및 최적화 알고리즘 등을 학습 | |
16 | 에너지소재별 최적화와 시뮬레이션 (Optimizing and simulation for energy materials) | 지능형 에너지 데이터에 대해 이론적으로 접근하고, 에너지데이터의 도메인별 수요공급의 이해를 통한 AI Energy Data Analytics학습 | |
17 | 초전도 및 에너지신기술 (New technology for Superconductivity and energy) | 에너지신기술 기반의 에너지재료 초전도 현상을 이용한 재료 및 고운 초전도 재료의 특성 원리 학습 | |
18 | 지능형에너지공정설계 (Design of Intelligent energy process) | 에너지소비 인프라 및 도메인, 물리적/환경적 요인 등에 따른 지능형에너지 분배 및 사용을 위한 공정설계에 대한 학습 | |
19 | 스마트에너지시티의 인프라 안전과 보안 (Security and safety of smart energy city infra) | 스마트에너지시티를 구성하는 인프라의 디지털트윈 기반 에너지 인프라 안전 및 보안설계 학습 | |
20 | 에너지신신업과 도시설계 (City design and energy new industry) | 도시의 에너지인프라 기획 및 설계를 이해하고 에너지 신산업을 위한 도시 내 요소별 데이터와 방법학습 |
전공선택(산학연협동과정)
- 에너지신산업의 다양한 에너지인프라 최적화를 통해 지속가능한 에너지구조 및 에너지안보를 확보하기 위한 에너지 비즈니스 플랫폼 구축
방법 등을 학습함
- 스마트에너지시티와 인공지능, 에너지데이터 등의 신기술을 활용한 융합연구를 통해 에너지 자립화를 위한 지능형 에너지거래,
제로에너지인프라 최적화 방법 등을 학슴함.
- Energy-Business 연계과정은 Problem-Finding 중심의 에너지신산업 플랫폼 설게 및 구축에 대한 교육을 통해 미래 에너지신산업 지능형
에너지서비스 부문을 연계함.
E N E R G Y - B U S I N E S S |
1 | 지능형 에너지 통합관리기술 (General management for the intelligent energy) | AI/BigData/IoT 기반 에너지신기술을 활용한 합리적인 에너지사용 및 체계적인 지능형 에너지관리 기술을 학습함 전기에너지, 열에너지 등과 같이 각종 다른 형태지만, 수요가 많은 에너지들을 정의하고, 효율적으로 발생, 사용하기 위한 각종 모델들을 연구하도록 함,. 이를 통해서 발생과 사용에 대한 모델을 에너지 보존법칙을 통해서 제안하도록 하고, 모델링 기법을 연구함 | ![]() 한국수력원자력 |
---|---|---|---|---|
2 | 에너지안보 중심의 생산과 분배 전략 (Production and distribution for energy security) | 에너지안보를 통한 에너지 공급-수요 도메인 분석 기반의 에너지 생산/분배 전략을 학습함 에너지의 생산을 분배를 위한 에너지 지원의 분포, 생산 기관 방법 등에 대한 기초 자료를 습득하고, 이를 효율적으로 분배하고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AI를 바탕으로 하여 학습하고 모델링 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함 | ![]() 한전 KPS |
|
3 | 에너지 데이터기반 가상발전소 운영 (Management for the virtual power plant based on energy big data) | 가상발전소 유형에 따른 분산형 에너지원 통합 분석 및 설계 운영방법 학습 스마트 그리드 상에서 발생되고, 사용되는 각종 에너지들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전기차, ESS와 같은 에너지 이동과 에너지 저장의 요소들을 고려해 가상발전소를 설계하고, 모델링하는 공부를 진행함 | ![]() 한전 KPS |
|
4 | 지능형 전력망 원격제어, (Intelligent control for the smart grid) | 에너지신산업의 공급 에너지 안정화 및 ESS연계 최적화, 통합원격제어 등을 통한 융 · 복합 지능형 전력망을 학습함 시간과 공간에 따라서 사용량이 변화하는 각종 전기에너지 열에너지의 분포에 대해서, 이를 빅데이터 화 하고, 이로부터 유의미한 자료를 추출하도록 함. 각종 모델링 연구를 통해서 상관 관계를 분석하고 이를 활용하여 최적화된 모델을 제시함 | ![]() 한국수력원자력 |
|
5 | 지능형 에너지 거래플랫폼 설계 (Massive platform design for the intelligent energy) | 지능형 에너지데이터기반 능동적 에너지 공급-수요를 위한 에너지 거래 플랫폼 설계 및 최적 매칭 기술 학습 빅데이터와 머신러닝 기술을 적용시켜 에너지 관련 데이터의 Non-linear 패턴을 분석하여 통계 기법들을 학습하고 모델을 제안함 | ![]() 한전 KPS |
|
6 | AI기반 에너지신산업 평가 및 최적운용 | AI 기반 지역별 에너지신산업 비즈니스 모델 평가 및 최적화 운영방안 학습 | ![]() 한국전력공사 전력연구원 |
전공선택(산학연협동과정)
- 에너지산업에서 발생되는 에너지데이터의 수집/가공/분석 과정 최적화를 위한 에너지데이터 플랜트 설계 방법 등 에너지산업 데이터
엔지니어링에 대해 학습함.
- 에너지인프로 및 AI 융합연구를 통해 지속가능한 에너지플로우 구축과 에너지거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ICT기술 기반
에너지신기술 플랫폼 구축방안 등에 대해 학습함
- Energy-Digital 연계과정은 Problem-Finding 중심의 에너지 연결기술 및 에너지데이터 분석 등의 교육을 통해 미래의
에너지신산업 데이터, ICT 응용기술 부문을 연계학
E N E R G Y - D I G I T A L |
7 | AI기반 에너지신산업 엔지니어링 (Energy New Industry engineering based on AI) | AI기반 에너지신산업 플랜트 엔지니어링 및 응용에 대한 이해와 플랜트 최적화 설계기술학습 | ![]() 한국전력연구원 |
---|---|---|---|---|
8 | 지능형에너지 시스템 저전력제어 (Intelligent system on low energy electric) | 에너지 공급-수요 체계를 이해하고 지능형 에너지 시스템의 전력제어기술 학습 | ![]() 한국수력원자력 |
|
9 | 지능형 에너지 데이터 관리/분석 (Management of Intelligent energy data) | 지능형 에너지데이터를 위한 수집 방법을 설계하고 Advanced Analytics를 활용한 데이터연계/관리기술 학습 | ![]() 한국전력연구원 |
|
10 | 지속가능한 에너지플로우설계 (Sustainable energy flow design) | 도메인분석을 통해 상호 균형적인 에너지공급-수요체계 수립을 위한 지속가능한 에너지플로우 설계 | ![]() 한국수력원자력 |
|
11 | 에너지거래 보안 및 안정성 (Stabilization and Security of energy deal) | 지능형에너지데이터기반 능동적 에너지 공급-수요를 위한 에너지거래 플랫폼설계 및 최적 매칭 기술 학습 | ![]() 한전 KPS |
|
12 | 에너지신산업 IoT Ecosystem 분석/설계 (IoT Ecosystem analysis and Design on energy new industry) | Ecosystem을 위한 IoT기술/비지니스 모델 분석 및 실행 가능한 IoT솔루션 구축에 필요한 설계와 기술 학습 | ![]() 한국전력공사 전력연구원 |
전공선택(산학연협동과정)
- 전기-열에너지 변환 효율 향상과 극한의 상황에서 에너지 수확이 가능한 신소재 개발을 위해 에너지 저장/공정 소재의 특성원리를 파악하고
지능형 에너시 도메인별 지속 가능한 에너지생성 방법 등에 대해 학습함.
- 다양한 도메인별 에너지데이터 기반의 통합분석을 위한 신재생에너지 설비 및 인프라의 지능화 방법 등에 대해 학습함.
- Energy-Physical 연계과정은 Problem-Finding 중심의 에너지신산업 분야의 기반기술 교육을 통해 미래 에너지신산업 지능형 에너지 소재 및
공정, 저장기술 부문을 연계함
E N E R G Y - P H Y S I C A L |
13 | AI기반 ESS최적화 모델 설계 (ESS optimized model design based on AI) | ESS모델 별 분석 및 설계를 기반으로 타 산업간 융합을 위한 AI기반 ESS최적화 운영 모델 학습 | ![]() 한국전력연구원 |
---|---|---|---|---|
14 | 에너지도메인 데이터 수집방법론 (Dada capture methods of energy domain) | 에너지인프라의 데이터 구조/형태 분석을 통한 도메인별 지능형 에너지데이터 수집 방법론 학습 | ![]() 한국수력원자력 |
|
15 | 지능형에너지와 스마트 인프라 (Intelligent energu and smart infra) | 도시를 구성하는 시설물들의 에너지 도메인과 AI 기반 기술을 연계하여 스마트 인프라 설계 학습 | ![]() 한전 KPS |
산학연협동과정 전공과목 소개
AI/IoT/빅데이터 기반 에너지신산업 | 지능형에너지 전환서비스 및 스마트그리드 | 지능형에너지 거래 및 경영 | 스마트에너지시티 및 제로에너지인프라 | 신재생에너지 및 청정 화력 | 에너지신소재 및 공정 | |
---|---|---|---|---|---|---|
교수진 | 박세현 교수 오기용 교수 이철진 교수 |
박세현 교수 오기용 교수 김민성 교수 |
박세현 교수 서용원 교수 |
박세형 교수 한중근 교수 |
유재영 교수 이성혁 교수 이형순 교수 인정빈 교수 박중열 교수 |
고중혁 교수 김주헌 교수 이평수 교수 박주현 교수 남인호 교수 |
산학연 협동 교육과정 | 에너지신산업 IoT Ecosystem 분석/설계 지능형에너지 데이터 관리/분석 AI 기반 에너지신산업 엔지니어링 AI기반 에너지신산업 평가 및 최적운용 AI기반 ESS최적화 모델 설계 |
지능형에너지 시스템 저전력제어 에너지도메인 데이터 수집방법론 지능형전력망 원격제어 지능형에너지 통합 관리기술 지속가능한 에너지 플로우 설계 |
지능형에너지와 스마트 인프라 에너지 안보중심의 생산과 분배전략 에너지거래 부안 및 안정성 지능형에너지 거래플랫폼 설계 에너지데이터를 활용한 가상발전소 운영 |